Biography
Jane Hwang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Berlin. She explores the silences embedded in both institutional archives and personal memory, reclaiming absence as a framework for shaping collective narratives. Through research-based practice, she traces fractured memories and examines how memory artifacts are internalized in bodily and sensory experience. Her work engages oral history, ritual, and historical documentation, articulating their resonance through film, text, and audiovisual installation.
Hwang holds a B.F.A. from the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and Design and an M.A. in Art in Context from the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Her work has been exhibited on various platforms, including a solo exhibition at Artspace Hyeong, Seoul (2023), as well as group exhibitions at the nGbK (2025), Sternschuppen at Volksbühne am Rosa-Luxemberg-Platz (2024), CCA Berlin (2023), and the Museum für Fotografie Berlin (2020).
황제인(b.1986)은 베를린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작가이다. 매사추세츠 컬리지 오브 아트 앤 디자인에서 회화를 전공했고, 베를린 예술대학 아트 인 컨텍스트 과정에서 기억과 미디어의 학제간의 연구를 주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작가는 아카이브와 기록물의 불완전함을 공동체 서사의 구축을 위한 토대로 여기며, 공백과 부재로부터 서사의 윤곽선을 그려나간다. 리서치를 기반으로 분절된 기억의 파편을 수집하며, 타자의 경험에서 생성된 기억의 유물이 나와 우리의 감각으로 체화되는 방법론을 탐구한다. 개인전 《이 선생에 관하여》 (공간 형, 2023)을 열었으며, nGbK 베를린 (2025), 폴크스뷔네 슈테른슈펜 (2024), CCA 베를린 (2023), 베를린 사진미술관 (2020)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Artist Statement
Fragments of memory often surface before us unexpectedly, like old buoys washed ashore. I observe these remnants, carried by the currents of time, as they settle and take root in the present context. These are the marginalized memories excluded from official records, the suppressed histories of communities meant to be erased, and at times, the very products of an era’s silence. Such narrative debris is generated, circulated, and archived in incomplete forms. Some stories exist only in archives, for the generations that served as their living vessels are no longer with us. Others, never voiced, are held in the mouth only to be swallowed and quietly fade into oblivion. Still others are modified and adapted to survive, passed down as folklore, myth, or rumors. My work, therefore, focuses on the dynamic interplay of narratives that emerges at the juncture where state records, community archives, and individual experiences diverge.
Amid the grand narratives of recurring tragedies like war, occupation, and division, the foundation of my work was laid the moment I encountered the power of a personal genealogy—of stories branching out from me like roots and limbs. During my research on civilian massacres of the Korean War, I chanced upon the story of my granduncle, who had crossed over to the North during that same period. A memory, concealed and meant to be forgotten, slipped through a crack in my mother’s tightly sealed lips. As I picked up this single fragment of a story adrift in a sea of silence, it felt as though an entirely new sensory framework was being woven, one connecting the hand that held it to the very ground on which I stood. I realized then that my works, which had seemed like disparate projects, had in fact always been intertwined with my personal lineage, amplified in unexpected ways. In this process of internalizing a historical tragedy that had felt impossibly remote, the relics of others’ memories—once confined to the realm of non-experience—finally began to be embodied through my own senses.
We trust records that are neatly organized in document programs over stories passed down orally or notes written in shaky handwriting. Unlike official records, which are logically structured and safely preserved by authoritative entities, personal records are incomplete and at risk of distortion and oblivion. Through my previous work focusing on the oral histories of female family members, I realized that collective memories help bond incomplete personal narratives. I witnessed the astonishing moment when fragments of stories reshaped and a forgotten figure came back to life. Narrators exchange, match, verify, and correct bits of information among each other who had never shared their history due to social stigma. Yet, my work is not aimed at reconstructing a single, perfect truth by piecing together information. It is about recognizing the gaps in collective narratives and continuing to speculate on the omitted records—a process of imperfect and unfinished collaboration, and a ritual to preserve finite lives in memory.
My practice unfolds by reconfiguring the manifold layers of memory through research-based media, including video and sound installation, text, and performance. I gather the voids and losses left unspoken in dominant narratives, bestowing them with a sense of presence by reprocessing and reassembling them into fragments of image, writing, and sound. Based on an oral history approach to women, minorities, and oppressed communities, I observe non-verbal expressions—gestures, gazes, tremors—to trace the contours of a narrative. This methodology of materializing limited memories inevitably creates voids and absences, necessitating the intervention of fiction and imagination. In this way, an imagination becomes the mediator that structures the story, weaving through the skeletal, fact-based narrative. The surreal holds boundless possibilities—distorted spacetimes, encounters with the transcendent, ghosts lingering with memories, unable to leave the mortal world. These possibilities, alongside communal experiences like rituals, spells, and superstitions, become agents that make the impossible task of perpetuating memory possible.
Walking along old city roads, I imagine the unassuming street trees might be the most vivid witnesses of all. I have brought nature into my work as a historically inscribed transcendental being: by writing of the trees in cemeteries that connect to the world beyond death, by collecting the sounds of slowly shifting glaciers as they contract and expand, and by gathering legends and folktales about the natural world. Nature also reveals a web of interests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human society. Its absence tells a history of development, while an urban landscape layered with disparate architectural styles is a record of conflict and migration. As a former POW camp site transforms into a young forest, the history inscribed on the land is erased and rewritten. Gazing upon nature as a repository for memory, I explore the entire life cycle of a record—from its creation and management to its modification and deletion.
They say that among the stars embroidering the night sky, some are already dead; it simply takes time for the light they once emitted to reach our eyes. Perhaps a star glittering before us now has already shattered, its remnants giving birth to a new star. This makes me think that certain things require a fateful passage of time before they can be seen. A memory, a fact, or a phenomenon may be constantly journeying from the past, destined to be perceived by someone in this very moment. One day, we look up at the night sky and witness things that, having completed their tenacious journey, finally enter our field of vision. When the debris of memory forms a new constellation and that constellation becomes perception, the reality of the past is incorporated into our senses. In that moment, a communion occurs, and at last, the past survives within us.
기억의 파편은 마치 파도에 밀려온 오래된 부표처럼 우리 앞에 불쑥 나타나곤 한다. 나는 그렇게 시간의 흐름에서 떠밀려 온 기억의 조각들이 현재의 맥락에 새로이 정착하고, 뿌리내리는 여정을 관찰한다. 이는 공식기록에서 탈락한 변두리 기억이거나, 지워져야 했던 억압된 공동체의 기억이며, 때때로 시대적 침묵의 산물이다. 이러한 서사의 잔해는 불완전한 형태로 생성되고 확산되며, 기록되어 저장된다. 어떤 이야기는 아카이브로만 존재하는데, 그것을 품고 살아가는 유기적 매개체로서의 세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어떤 이야기는 한 번도 발화되지 못한 채 입 속에 머금었다 삼켜지고, 자연스럽게 망각의 운명을 따른다. 어떤 이야기는 기억되고 살아남기 위해 수정되고 각색되며, 설화나 전설, 소문의 형태로 전해진다. 이처럼 나의 작업은 국가 기록에서부터 공동체 단위의 아카이브, 그리고 개개인의 경험으로 분화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의 역동성에 주목한다.
전쟁과 지배, 분단과 같이 반복되는 비극의 거대 서사 안에서 내 작업의 토대를 만들어준 것은 사적인 계보학, 즉 나를 중심으로 뿌리와 가지처럼 뻗어가는 이야기의 힘을 마주한 순간이었다. 한국 전쟁 시기의 민간인 학살에 관한 리서치를 하던 중, 우연히 나는 같은 시기에 월북을 한 큰할아버지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 감춰지고, 잊혀져야 했던 기억이 엄마의 굳게 닫힌 입술 틈에서 슬쩍 비져나온 것이다. 침묵의 바다에서 표류하던 이야기 조각 하나를 주워 들자, 그 조각을 쥔 손에서 시작해 내가 두 발을 딛고 선 땅의 기반을 감각하는 체계가 새롭게 짜여지는 기분이었다. 이제까지 개별적으로 보였던 각각의 작업들이 사실은 나의 사적인 계보와 맞물리며 수행되어 왔고,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증폭된 것이다. 도저히 내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던 시대적 비극이 나의 이야기로 내면화되는 과정에서, 비경험의 영역에 머물러있던 타자의 기억의 유물들이 비로소 나의 감각으로 체화되기 시작했다.
우리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나 삐뚤삐뚤 손으로 쓰인 메모보다는 문서 프로그램에 짜임새 있게 정리된 기록물을 신뢰한다. 권위 있는 주체에 의해 논리적으로 작성되고 안전하게 보존되는 공식 기록과 달리, 개인의 기록은 불완전하며, 늘 왜곡과 망각의 위험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여성 가족 구성원의 구술사를 다룬 이전 작업을 통해 조각난 개인의 서사를 보완하는 것이 공동체 기억임을 깨달았다. 사회적 낙인과 결부된 가족사를 단 한 번도 서로 나누지 않은 채 살아온 가족들이 모여 서로 알고있는 정보를 교환하고 맞추며,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분절된 이야기가 다시 형체를 되찾고, 잊혀진 인물이 다시 살아나는 놀라운 장면을 목격했다. 하지만 나의 작업은 개인의 기억을 짜 맞춰 완벽한 하나의 사실을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공동체 서사의 공백을 인지하고, 탈락된 기록에 대해 함께 추측을 이어나가는 불완전과 미완의 협력이며, 유한한 삶을 기억으로 영속시키려는 의식(ritual)이다.
나의 작업은 비디오와 사운드 설치, 텍스트, 퍼포먼스 등 리서치 기반의 매체를 통해 기억의 다양한 층위를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권력 중심의 서사에서 말해지지 않은 공백과 상실을 수집하고, 이를 이미지와 글, 소리의 조각들로 재가공하고 재배열하면서 현재성을 부여한다. 여성, 소수 민족, 억압된 공동체의 구술사적 접근방식을 토대로, 비언어적 발화(몸짓, 시선, 떨림)를 관찰하고, 이로부터 서사의 윤곽선을 그려나간다. 제한된 기억을 물질화하는 방법론은 공백과 부재를 만들어내며, 필수적으로 허구와 상상의 개입을 초래한다. 뼈대가 되는 사실 기반의 내러티브 사이에 은밀한 개인적 상상력이 매개체가 되어 이야기를 구조화하는 방식이다. 일그러진 시공간, 초월적인 존재와의 조우, 현세를 떠나지 못하고 기억을 안고 맴도는 유령 등 초현실적인 존재가 내포하는 무한한 가능성은, 의례, 주술, 미신 등의 공동체 경험과 함께 기억의 영속화라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자로 등장한다.
나는 도심의 오래된 길을 걸으며 무심히 늘어선 가로수가 어쩌면 가장 생생한 목격자가 아닐까 하는 상상에 빠진다. 죽음 너머의 세계로 이어지는 묘지의 나무들에 관한 이야기를 쓰거나,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느리게 움직이는 빙하의 소리를 채집하고, 자연물에 관한 전설과 민담을 수집하면서 역사적으로 부여된 초월적 존재로서의 자연을 작업에 등장시켜왔다. 자연은 또한 인간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이해관계를 드러낸다. 자연의 부재는 개발의 역사를 보여주고, 서로 다른 건축 양식으로 덧입혀져 쓰임새를 달리한 건물들이 이루는 도시 경관은 분쟁과 이주의 기록이다. 포로수용소가 있던 부지가 어린 숲으로 변하면서, 땅에 새겨진 기록이 삭제되고 다시 쓰여지기도 한다. 나는 기억의 저장소로 역할하는 자연을 바라보며, 생성과 관리, 수정과 삭제에 걸친 기록 매체의 생애를 탐구한다.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 중에는 이미 죽어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별도 있다고 한다. 별이 살아있을 때 내뿜은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 우리 눈에 보이는 반짝이는 별이 이미 죽어 산산히 흩어져, 그 잔해가 새로운 별을 생성하는 중일지도 모른다. 나는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보여지기까지 숙명적인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어떤 기억, 사실, 현상은 지금 이 순간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해 과거로부터 꾸준히 달려오고 있다. 어느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끈질긴 여행을 마친 후, 우리의 시야에 비로소 들어오는 것들을 보게 된다. 기억의 잔해가 또 다른 덩어리를 만들어내고, 그 덩어리가 인식이 되는 순간, 과거의 실재가 우리의 감각에 편입된다. 그렇게 감응이 일어나고, 마침내 우리 안에 살아남는다.
janehwangjane@gmail.com